맨위로가기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는 동해선 광역전철 운행을 위해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이다.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1단계 개통에 투입된 1세대 차량(38101~38110편성)과 2021년 12월 28일 2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2세대 차량(38111~38117편성)이 있으며, 2027년 3세대 차량(38118편성)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이 전동차는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1세대는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및 391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한 디자인을, 2세대는 전면부 디자인 변경과 객실 설비 개선을 특징으로 한다. 381000호대 전동차는 우진산전, 도시바제 주제어장치를 사용하며, 1세대와 2세대는 실내 설비 및 운전 설비에 차이를 보인다. 현재 동해선 부전~태화강 구간과 경의중앙선 임진강~서울역, 용산선 가좌~용산 구간에서 운행 중이며, 울산차량사업소와 문산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해선 광역전철 - 울산차량사업소
    울산차량사업소는 한국철도공사의 차량기지로, 381000호대 전동차와 KTX-이음의 검수 및 주박을 담당하며 대구권 광역철도에 투입되는 392000호대 전동차의 중검수를 수행하고 광역철도 차량 유지 보수와 고속철도 운행 안전에 기여한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노후화된 무궁화호 대체 및 경량화, 제작비용 절감을 위해 히타치 A-Train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140km/h급 준고속 전기 동차로, 현재 28량이 강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여러 노선에서 운행 중이며 일부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2013년부터 ITX-새마을 특급열차로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이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경부선, 호남선 등에서 운행한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381x04 편성, 거제역에 정차 중
서비스 시작2016년
제작 회사현대로템
제작 연도2016년 (1세대), 2018년 (2세대)
운영 회사한국철도공사
소속동해, 문산
노선동해선
차량 재질알루미늄
출입문각 측면 4개, 차량 당 8개
편성4량 1편성 (TC-M'-M'-TC)
성능
영업 최고 속도시속 110km
설계 최고 속도시속 120km
가속도초당 3.0km/h
감속도 (상용)초당 3.5km/h
감속도 (비상)초당 4.5km/h
견인 장치도시바 COVO52-A0 VVVF-IGBT 추진 시스템, IGBT 1C4M 모터 사용
총 출력4400kW
전기 시스템
전력 방식교류 25kV 60Hz
집전 방식가공 전차선
안전 장치
안전 장치ATS, ATP(안살도), ATC
연결기시바타식
궤간1435mm (표준궤)
차량 정보
편성 정원616명
차량 정원 (선두차)148명
차량 정원 (중간차)160명
전체 길이19,500mm
전체 폭3,120mm
전체 높이3,750mm
제어 장치IGBT 소자 VVVF 인버터 제어 (도시바, 우진산전)
주전동기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
제동 방식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제동
편성 총 중량2078.4톤
차량 중량259.8톤
기타
생산량17편성 68량
사용량17편성 68량

2. 도입 역사

2016년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에 맞춰 도입된 4문형 차량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스테인리스 재질, 팬터그래프 변경, 와이퍼 증설 등의 특징을 가진다. 도색은 다른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전동차와 달리 라이트 주변과 문에 청색 띠만 둘러 무도색으로 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경강선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과 함께 발주되었으며, 좌석 색상은 371000계와 다르고, 도어 차임이 설치되어 있다.

2018년에는 2세대 차량(381x11~381x17편성)이 추가 도입되었다. 2세대 차량은 전면부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어 이후 311000계, 341000계 등 신형 차량에 널리 채택되었다. 381x01~381x04편성은 문산차량사업소로 배속되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2. 1. 1세대 (2016년)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1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이다.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1차분)와 매우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나, 차상장치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 제작사: 현대로템 창원공장
  • 도입 시기: 2016년 3월 3일 ~ 2016년 8월 20일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스테인리스 재질, 팬터그래프 변경, 와이퍼 증설 등의 특징을 가진다. 도색은 다른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전동차와 달리 라이트 주변과 문에 청색 띠만 둘러 무도색으로 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경강선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과 함께 발주되었으며, 좌석 색상은 371000호대와 다르고, 도어 차임이 설치되어 있다.

2. 2. 2세대 (2018년)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 개통을 위해 도입되었다. 38111~38117편성이 해당된다. 전면부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어 '주둥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와 내장재, 신호 방식을 제외한 모든 것이 동일하여, 자동 통로문을 없애고 통로 폭을 넓혔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중 최초로 비상사다리가 설치되었다.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2세대) 현황
차호도입 시기비고
38111 편성2018년동해선 개통 전 병점차량기지로 차출되어 시운전한 이력이 있다.
38112 편성
38113 편성
38114 편성381114호에 현대로템 VVVF-IGBT(IPM)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38115 편성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이 열차의 도시바 IGBT를 119~121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이식한 다음에 현대로템 VVVF-IGBT(IPM)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38116 편성
38117 편성


2. 3. 3세대 (2027년 예정)

2027년38118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북울산역 연장 대비 증차 발주분이다.

3세대 전동차 도입 예정
차호도입 시기비고
38118편성2027년 예정북울산역 연장 대비 증차 발주분


3. 기술적 사양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는 2016년 말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에 맞춰 도입된 4문형 차량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스테인리스 재질 차체를 사용한다. 팬터그래프 변경, 와이퍼 증설이 이루어졌고, 도색은 다른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전동차와 달리 라이트 주변과 문에 청색 띠만 둘러져 있다. 수도권 전철 경강선을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와 함께 발주되었으나, 좌석 색상은 다르다.

2018년에 도입된 2차분(381x11편성~381x17편성)은 전면 형태가 크게 변경되었는데, 이는 이후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등 신형 차량에 널리 채택되었다. 381x01편성~381x04편성은 문산차량사업소로 배속되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모든 차량에 도어 차임이 설치되어 있다.

3. 1. 제어기기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후기형 및 서해선 광역전철에서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1차분에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사용한다.

3. 2. 실내 설비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와 내장재, 신호 방식을 제외한 모든 것이 동일하다. 2018년에 증차분으로 도입된 2차분(38111~38117편성)은 2016년에 도입된 1차분 전동차와 달리, 자동 통로문을 없애고 통로 폭을 넓혔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중 최초로 비상사다리가 설치되었다.

3. 3. 운전 설비

기존 차량보다 운전실 창을 넓히고 형태를 변경하여 시야를 개선하였으며, 1인 승무에 대응하도록 CCTV 모니터 및 ATS/ATP 속도계가 장착되어 있다.

3. 4. 편성

(Tc)381100형
(M'<)381200형
(M'<)381900형
(Tc)동해선 (덕하) 소속
덕하 완성까지는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 배속탑재 기기SIV, CP, BTCI, MtrCI, MtrSIV, CP, BT차량 중량차량 번호381001

381017381101

381117381201

381217381901

381917



팬터그래프는 M' (381100형, 381200형)에 싱글암형을 1기씩 탑재한다.

4. 운행 구간

동해선 광역전철 (부전~태화강)에서 38101~38109편성과 38111~38117편성이 운행 중이다. 38110편성은 수도권 전철 경의선 (임진강~문산~서울)과 용산선 (가좌~용산)에서 운행 중이다.

2019년 4월 16일과 4월 23일에 38111~38117편성이 시운전을 마치고 영업 운행에 투입되면서, 38101~38104편성이 부산차량사업소에서 의왕역으로 갑종회송되었다. 이들 편성은 2019년 5월부터 서울~문산, 문산~임진강 구간에 투입되어 운행했다. 이후 2021년 1월 20일(38101~38102편성), 1월 27일(38103~38104편성)에 다시 동해선 광역전철로 복귀했다. 반대로 2021년 1월 19일(38105~38107편성), 1월 26일(38108~38110편성)에는 6개 편성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이동하여 운행했다. 이는 부산차량사업소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울산차량사업소로 2021년 8월 25일에 완공되기 전까지, 전동차를 유치할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2021년 9월 30일(38105~38106, 38109편성), 12월 20일(38107~38108편성)에도 동해선 광역전철로 복귀하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는 38110편성만 남게 되었다.

5. 배속

38101~38109, 38111~38117편성은 울산차량사업소 소속이고, 4량이다. 38110편성은 문산차량사업소 소속이고, 4량이다.

6.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